조의금 및 봉투 쓰는법
갑작스레 들려온 부고 소식을 듣고 장례식에 방문할 때는 조문예절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조의금은 얼마나 해야 할지, 봉투는 또 어떻게 써야 할지 고민되거나 헷갈릴 때가 있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결혼식 등의 경사보다 장례 등을 치루는 흉사를 더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최대한 예법에 어긋나지 않고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장례식장에 부의금 봉투가 비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미처 봉투를 준비하지 못했더라도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조의금 및 부의금 적당한 금액
부의금은 고인의 죽음을 슬퍼하는 의미도 있지만 남아있는 유족의 고통을 위로하고 장례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전하는 돈으로 조의금 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조라는 말도 함께 쓰이기도 하지만 사실 부조란 원래 잔칫집이나 상가에 돈이나 물건을 보태 도와주거나 일을 거들어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축의금과 부의금, 조의금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장례식에 조의를 표하며 내는 부의금 및 조의금은 어느정도를 해야 한다는 것이 딱히 정해져 있지 않다.
개인이 고인이나 상주, 유족과의 관계를 고려해 성의를 표하면 되지만 보통 1인당 식비가 2~3만원 수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액수를 정하는 것이 좋다.
보통 관계가 밀접하다면 10만원 정도가 적당하고 직접 찾아가는 경우엔 5만원 이상, 봉투만 전달하는 경우엔 3만원 이상을 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조의금 및 부의금은 일반적으로 길한 숫자를 의미하는 홀수로 맞춰 내게 된다.
일반적으로 5만원이 많고 7만원 이후부터는 10만원 단위로 금액을 맞춰 조의금을 내는데 '9'는 아홉수라 하여 예로부터 좋지 않게 생각했기 때문인데 조의금으로 9만원은 내지 않는다.
만약 조의금으로 9만원을 생각하고 있었다면 1만원을 더해 10만원을 맞춰 전달하는게 좋다.
'1'은 예로 부터 처음과 끝을 의미 숫자로 10은 짝수이지만 숫자 3과 7이 합해진 길한 숫자로 여기기 때문에 10만원과 20만원, 30만원 등 10만원 단위의 금액도 홀수처럼 괜찮다고 여기는 것이다.
조의금 및 부의금 봉투 쓰는법
요즘은 편의점, 문구점을 비롯해 장례식장에서도 조의금 및 부의금 전용 봉투를 비치하고 있어 따로 봉투 앞면에 문구를 쓸 필요는 없다.
하지만 봉투를 직접 구매하더라도 앞에 새겨진 문구가 장례식장에서 사용하는 것인지 구별이 필요하므로 문구를 상식적으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문구는 부의(賻儀) 또는 근조(謹弔)가 가장 많고 때에 따라서는 추모(追慕), 추도(追悼), 애도(哀悼) 등을 쓸 수도 있다.
봉투가 준비되면 이름과 소속을 기입하는데 문구가 있는 앞면이 아니라 봉투 뒷면에 기입을 해 준다.
이름은 봉투 뒷면 왼쪽 아래에 기입하고 회사 또는 소속 등은 이름 옆에 적으면 된다.
봉투에 기입하는 이름은 가로가 아니라 세로로 기입해야 하며 소속은 상주나 유족이 자신을 알아채기 쉽도록 적는 것이 중요하다.
즉, 직장인이라 하더라도 상주나 유족과 학교 동기라면 소속으로 자신의 회사명을 적기보단 학교 동문을 강조해 쓰는 것이 더 좋다.
직장이나 단체에서 부고 소식을 전해들은 경우 많은 사람들이 한 봉투에 부의금을 모아 전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일일이 봉투에 이름을 적기가 어렵다.
이경우 대표 한사람의 이름을 적거나 'OOO 외 몇 명' 등으로 적으면 되며 상주나 유족이 알아볼만한 회사나 소속이 있다면 소속회사나 부서이름을 쓰고 '일동'이라고 기입해 준다.
간혹 고인에게 조의를 표하고 상주나 유족과의 대면한 이후에 부의금을 직접 전달하려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예의에도 어긋나고 상주나 유족을 당황하게 할 수 있어 좋지 않다.
슬픔에 잠겨 있는 상주나 유족이 다른 것에 신경을 쓰는 것도 힘들 뿐 아니라 받은 돈을 따로 보관하기도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접수대에 방명록을 적고 부의금을 전달하던가 부의금함에 직접 넣는 것이 좋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