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12간지 십이지신 순서 및 내포하고 있는 상징성, 띠순서


십이지신 순서

십이지신은 땅을 지키는 12마리의 동물신을 일컫는 말로 사악한 기운을 여러 방향에서 막아주는 일을 하며 태어난 해의 띠를 판가름 하는 등 다방면으로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띠는 십이지신을 붙여 만들었기 때문에 12년마다 한 번씩 자신의 띠가 해당되는 해가 돌아오며 나이를 계산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12가지로 구성된 이들 띠는 '십이지'라 불리우며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로 구성된 십간과 조합해 육십갑자, 60개의 간지로 만들어 년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십이지신 순서 [1] 상징동물


십이지신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순서로 순번이 정해지며 보통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처럼 4자씩 묶어서 외우는 경우가 많다.

동물의 발가락 수와 각 동물이 활동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십이지신 순서가 정해졌다는 설이 가장 설득력이 높은데 子(자)에 해당하는 동물인 쥐는 다른 동물과는 달리 한가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통 동물들은 앞발과 뒷발의 발가락 수가 같지만 子(자, 동물:쥐)는 특이하게 앞발은 발가락수가 4개, 뒷발은 5개로 서로 다르기 때문에 맨 앞에 위치한다.



그 뒤로 소(4), 호랑이(5), 토끼(4), 용(5), 뱀(0), 말(1), 양(4), 원숭이(5), 닭(4), 개(5), 돼지(4)의 순이며 이는 발가락수를 홀수와 짝수로 나눠 서로 교차해 배열하고 있는 형태이다.

12마리의 동물은 발가락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음과 양으로 구분하는데 짝수는 음을, 홀수는 양을 뜻하며 쥐는 양을 나타낸다고 본다.

다른 동물은 현실에 실존하지만 십이지신 중 용만 유일하게 상상의 동물로 십이지를 테마로 만든 동물원에서는 보통 용을 악어나 거북 또는 도마뱀으로 대체해 표현하고 있다.


십이지신 순서 [2] 상징하는 시간 및 방위


십이지신은 상징하는 시간과 방위가 서로 다르며 각각 맡고 있는 시간과 방향에서 오는 나쁜 기운인 사기를 막는 수호신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자시(子時)는 자정 전후인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의 시간대로 깊은 밤 인적이 드물기 때문에 쥐가 활동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축시(丑時)는 새벽 1시부터 3시까지로 밤새 풀을 먹은 소가 한참 반추하며 아침 밭갈이 준비를 할 때이고 인시(寅時)는 하루 중 호랑이가 제일 흉악한 때인 03~05시 사이를 가리킨다.


진시(辰時)는 아침을 먹는 시간인 아침 7시부터 9시까지의 시간대로 이 시간에는 보통 안개가 잘 끼는데 용이 구름과 안개를 타고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생각했다.

십이지신은 시간과 함께 각각 다른 방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쥐를 상징하는 子(자)가 0도를, 이후부터는 시계방향으로 30도씩 움직이면서 십이지신이 각각 자리잡고 있다.

丑(축)은 북동쪽으로 30도를, 寅(인)은 60도를 나타내며 卯(묘)는 동쪽으로 90도를 가리키고 마지막 십이지신인 돼지는 330도인 북북서를 나타낸다.


십이지신 순서 [3] 상징하는 가치


십이지신으로 대표되는 각각의 동물은 상징하는 가치가 서로 다르며 띠를 가지고 성격을 알아보거나 남녀간 궁합을 점쳐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쥐는 풍요와 희망, 기획을 상징하는 동물로 예지력이 있고 다산과 재물, 부를 상징한다고 믿는다.



토끼는 꾀와 지혜를 상징하고 상상속 동물인 용은 임금을, 말은 싱싱한 생동감과 뛰어난 순발력, 탄력있는 근육의 강인함과 순발력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부지런히 아침을 여는가 하면 알을 낳아 인간의 삶에 보탬을 주는 닭은 한 시대의 시작을 의미하는데 닭띠는 재주가 있고 꾸준하게 노력하는 스타일 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개는 진자리 마른자리를 마다하지 않고 주인에게 충성하는 모습 때문에 충성심을, 돼지는 복과 부를 상징한다.


2019년은 기해년(己亥年)으로 亥(해)는 돼지를, 십간인 己(기)는 황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황금돼지해'라고 달리 부르는 경우가 많다.

십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를 말하는 것으로 하늘의 운행을 상징한다고 여겨 '천간'으로 불리기도 한다.


십간은 각각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갑과 을은 청색을 나타내고 병과 정은 적색, 무와 기는 황색을, 경과 신은 백색, 임과 계는 흑색을 나타낸다.

새해가 밝아오면 황금돼지나 흑룡 등으로 거창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십간이 상징하는 색의 의미를 과장되게, 또는 희망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014년 '청말띠'의 경우 행운을 주는 유니콘의 해라고 생각하기도 했는데 상징띠에 들어있는 동물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고려해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댓글